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금’의 반격 – 왜 여전히 지폐와 동전이 필요할까?

by 카페라떼는 과거 2025. 6. 23.

현금 없는 사회? 아직은 현실이 아닌 ‘슬로건’일 뿐.

오늘은 왜 여전히 지폐와 동전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현금’의 반격 – 왜 여전히 지폐와 동전이 필요할까?
‘현금’의 반격 – 왜 여전히 지폐와 동전이 필요할까?


우리는 지금 이른바 ‘무현금 사회(cashless society)’로 향하고 있다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버스도 카드 한 장으로 타고, 편의점에서도 QR코드만 보여주면 결제되고, 식당에서는 스마트워치로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한때 지갑 속 필수품이었던 지폐와 동전은 이제 점점 자리를 잃어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시선을 돌려 보면, 여전히 ‘현금’이 우리 삶 깊숙한 곳에서 유용하게, 때로는 반드시 필요한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노점상, 시장 상인, 골목 식당 사장님, 택시 기사, 어린이, 어르신들…
그들에게 현금은 단순한 ‘지불 방식’이 아니라 일상적인 언어이자 안전장치입니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자결제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 금액의 현금을 상시 보유하고 있는 국민의 비율은 70% 이상으로, 여전히 높게 나타났습니다.
무현금이 ‘기술의 이상’이라면, 현금은 ‘현장의 현실’에 가깝습니다.

거리와 손끝에서 살아 있는 현금 – 골목상권, 노점, 아이들의 손에
현금은 없어지는 대신, 숨겨진 곳에서 끈질기게 살아남고 있습니다.
그 공간은 우리가 스마트폰을 꺼내지 않는 순간이자, 작고 단순하지만 사람 냄새가 나는 장면들입니다.

 

🧺 소상공인과 노점: 카드 단말기보다 지폐가 빠르다


전통시장이나 동네 떡볶이집, 노점 과일가게에서 여전히 현금이 선호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단말기 설치가 번거롭거나, 수수료가 부담되고, 신호가 약한 곳에서는 카드 결제 자체가 번거롭기 때문입니다.

특히 노점에서는 전기를 쓸 수 없는 곳이 많고, 비나 추위에 단말기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간단한 물건을 사고팔기엔 여전히 현금이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수단이 됩니다.

게다가 카드 결제는 입금까지 시간이 걸리지만, 현금은 바로 손에 들어오고, 잔돈까지 직접 계산하며 손님과 눈을 마주치는 과정 속에 직접적인 신뢰감이 생기기도 합니다.

 

🍭 아이들의 첫 경제활동: 용돈은 아직도 ‘동전’이 주인공


“엄마, 천 원만 줘!”
이 말은 여전히 전국의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유효합니다.
학교 앞 문방구, 편의점, 떡볶이집에서는 아이들이 손에 쥔 천 원짜리 지폐 한 장, 오백 원 동전 하나로 간식을 고르고 계산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죠.

현금은 아이들에게 ‘돈의 감각’을 키워주는 실물 도구입니다.
화폐의 모양, 단위, 거스름돈 개념을 직접 손으로 배우고, ‘돈을 쓰는 감각’을 익히는 데 현금만큼 효과적인 수단은 아직 없습니다.

요즘 일부 부모는 아이에게 용돈을 계좌이체로만 주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합니다.
모바일로 돈이 왔다 갔다 하는 사이에, 돈이 ‘감각적 실체’가 아니라 숫자만으로 인식되는 문제가 생긴다는 거죠.

어르신, 장애인, 디지털 취약계층에게 현금은 ‘마지막 안전망’
‘모두가 스마트폰을 사용한다’는 말은 사실 절반의 진실입니다.
누군가는 기술에 익숙하지 않고, 누군가는 그 기술을 배우는 기회조차 제대로 가지지 못합니다.

 

👵 어르신들에게 현금은 ‘가장 확실한 금융 수단’


고령층은 모바일 뱅킹보다 은행 창구를, 카드보다 현금을 선호합니다.
무엇보다 손에 쥐어지는 실물이 주는 안정감과 ‘지금 당장 사용할 수 있는 돈’이라는 감각이 크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많은 어르신은 스마트폰으로 송금하거나 앱으로 잔액을 확인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끼고,
동네 약국, 병원, 택시에서 지폐로 계산하는 게 더 편하다고 말합니다.

또한, 자녀에게 소액을 건넬 때, 병원비나 약값을 계산할 때, 마을버스를 탈 때
현금은 말없이 역할을 수행합니다.

 

🧏 디지털 소외계층에게는 현금이 ‘접근 가능한 유일한 화폐’


시각이나 청각 장애가 있거나, 문자 해독이 어려운 분들, 기초생활수급자, 외국인 노동자 등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사람들에게 현금은 가장 기본적인 자립 수단입니다.

모바일 앱 하나로 모든 것이 해결되는 세상이라고 하지만,
그 ‘모든 것’에 접근조차 할 수 없는 이들에게는 여전히 현금만이 유일하게 신뢰할 수 있는 방식이 됩니다.

특히 지하철 무인 판매기, 키오스크, 앱 결제 중심의 매장 등에서 디지털 정보 격차에 따른 소외가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현금이 사라질수록 이들은 사회 참여의 공간을 잃어가게 됩니다.

 

기술이 모든 걸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현금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분명한 시대의 흐름입니다.
하지만 그 흐름 속에서도 현금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아직 사라질 수 없는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현금을 단순히 낡은 수단으로 치부하지만,
그 속에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뢰, 감각, 안전, 접근성이 담겨 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한 장의 지폐가 삶의 안정이고,
누군가에게는 동전 하나가 세상을 만나는 첫 손잡이이며,
누군가에게는 단말기보다 따뜻한 눈맞춤이 더 소중할 수 있습니다.

현금 없는 사회가 진짜 가능하려면,
기술보다 먼저 모두가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그때까지는, 현금은 여전히 우리의 일상에서 사라지지 않을 이유를 가지고 버티고 있을 것입니다.